동맥관개존증
동맥관개존증 (Patent ductus arteriosus)이란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에 존재하는 통로가 출생 이후에도 막히지 않고 남아있는 질환입니다. 동맥관을 통한 비정상적인 혈류는 동맥관의 크기에 따라 심부전 및 폐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카테터를 통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시술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시술이 불가능한 경우나 다른 기형이 동반된 경우 수술적 교정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폐고혈압이 심각하게 진행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불가능하므로, 조기 상담 및 정기 검진을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표적 치료 증례들
(1) 2살, 3.8kg, 암컷, 비숑 프리제
동맥관개존증
최소 절개를 통한 동맥관개존증을 교정하는 사진입니다. 손가락 한마디 정도의 적은 흉터로 수술하여 강아지의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 6개월, 1.8kg, 수컷, 포메라니안
동맥관개존증 (좌전대정맥 잔존 기형 동반)
최소 절개를 통해 동맥관개존증을 교정하는 사진입니다. 본 환자는 좌전대정맥 잔존 기형이 함께 있었고, 무사히 수술을 마쳤습니다.
(3) 5살 4개월, 1.7kg, 암컷, 치와와
동맥관개존증 (관상동맥기형 동반, 심폐체외순환기기 이용한 심정지 수술)
복합 심기형이 동반된 환자에서는 심폐체외순환기기를 연결하여 동맥관개존증과 다른 심장기형을 한번의 수술로 교정할 수 있습니다. 좌측 화살표는 동맥관이며, 오른쪽 화살표는 폐동맥을 절개하여 이상 유입혈류를 막아주는 모습입니다.
![surgical ligation of patent ductus arteriosus using the descending aortic approach in two dogs](/_res/cnuah/img/subject/surgery/img-artery08.jpg)
최소 절개 방법을 통하여 동맥관 개존증을 수술적으로 교정한 증례를 다룬 논문입니다.
진료교수 및 진료진
![정성목 교수님](/_res/cnuah/img/%EC%99%B8%EA%B3%BC_%EC%A0%95%EC%84%B1%EB%AA%A9_%EA%B5%90%EC%88%98%EB%8B%98.jpg)
정성목 교수님
- 진 료 과 : 외과
- 전문분야 : 연부조직 외과, 종양외과
![이해범 교수님](/_res/cnuah/img/subject/img-surgery-staff02.jpg)
이해범 교수님
- 진 료 과 : 외과
- 전문분야 : 정형외과, 신경외과, 재활치료
![김대현 교수님](/_res/cnuah/img/%EA%B9%80%EB%8C%80%ED%98%84%EA%B5%90%EC%88%98%EB%8B%98.jpg)
김대현 교수님
- 진 료 과 : 외과
- 전문분야 : 심장외과, 흉부외과, 혈관외과, 연부조직외과, 종양외과
![김대현 교수님](/_res/cnuah/img/subject/img-min.jpg)
정재민 교수님
- 진 료 과 : 외과
- 전문분야 : 정형외과, 신경외과
-
진료수의사 : 배승표
-
진료진 : 윤종필
-
진료진 : 김지윤
-
진료진 : 김희진
-
진료진 : 류윤희
-
진료진 : 배호정
-
진료진 : 염규현
-
진료진 : 이병욱
-
진료진 : 조형현
-
진료진 : 최현주
-
진료진 : 박지인
-
진료진 : 남중현
-
진료진 : 류연주
-
진료진 : 오준영
-
진료진 : 성정현
-
진료진 : 김영진
-
진료진 : 주다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