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정형외과에서는 뼈와 관절 등을 중심으로 관련되어 발생하는 질환들을 진료하며, 크게는 약물 및 주사요법, 물리치료 등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방법과 수술적 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골절치료
골절은 외상에 의한 경우가 가장 흔하며 모든 골조직에서 발생이 가능합니다. 흔히 골반, 노뼈, 넙다리뼈 부위의 골절이 흔하게 발생합니다.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대개 외상 후에 체중을 지탱하지 못하는 절뚝거림이 나타납니다. 골절질환 수술적 치료로서 핀, 외부고정장치, 뼈판,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골절을 정복하게 됩니다.

-Pelvic fracture - Radial fracture - Femur fracture-
관절질환 치료
a. 십자인대 손상
앞십자인대 손상이 많으며, 인대가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찢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초기에는 미약한 파행이 관찰되는데, 이는 휴식으로 회복됩니다. 이런 상태의 질환이 수개월간 지속 될 수 는데, 인대가 지속적으로 찢어지거나 무릎관절이 점진적으로 불안정해질 때 퇴행 변화는 심해지고, 파행은 좀 더 뚜렷해지고, 휴식으로도 해결되지 않습니다.

십자인대 손상은 신체검사, 관절경, 영상(방사선, MRI) 등을 통해 진단합니다.
- 치료 및 적용법
- Extracapsular Reconstruction
- Tibial Plateau Leveling Osteotomy(TPLO)
- Tibial Wedge Osteotomy(TWO)
- Tibial Tuberosity Advancement(TTA)
- 관절경 진단법
- 관절내시경은 최소한의 절개로 초소형 카메라를 관절 내부로 직접 삽입하는 첨단수술 방법입니다. 내시경으로 직접 병변부위를 관찰하여 세밀하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고, 동시에 수술도 가능합니다. 술중에는 출혈이 적고 합병증 발병률이 낮습니다. 술후에는 빠른 회복속도를 보입니다.
b .무릎뼈 탈구
무릎뼈가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탈구되는 증상으로 소형견에서 안쪽탈구가 자주 발생하며 파행의 원인이 됩니다.
- 치료 및 적용법
- Trochlear block recession
- Tibial tuberosity transposition
- Soft tissue reconstructive technique
c. 엉덩관절 형성이상
엉덩관절 형성이상(hip dysplasia)는 어린 환자의 넙다리뼈 머리의 완전탈구나 아탈구, 또는 나이든 환자의 심한 퇴행관절병으로 나타나는 엉덩관절의 비정상 발달입니다. 원인은 다양다. 유전적인 요소가 주요한 원인이다. 과도한 영양섭취를 통한 빠른 체중 증가와 과성장으로 인해 주변 조직과 발달 불균형으로 엉덩관절 형성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휴식후 일어나지 못하거나, 운동 못견딤, 간헐적 또는 지속적인 파행을 보인다. 활동량이 증가하면 갑작스럽게 악화되기도 한다.

- 치료 및 적용법
- Femoral Head and Neck Osteotomy(FHNO)
- Total Hip Replacement(THR)
d. 넙다리뼈머리 허혈괴사증 (LCPD)
넙다리뼈머리 성장판 폐쇄전의 어린 환자에게 발생하는 비염증성 무균 괴사증이다. 호르몬, 유전적, 해부학적 등의 이유로 넙다리뼈 머리의 혈류가 감소된다. 일반적으로 6-8주에 걸쳐 서서히 파행이 일어나고 체중을 지탱하지 못할 정도로 진행될 수 있다.

- 치료 및 적용법
- Femoral Head and Neck Osteotomy(FHNO)
- Total Hip Replacement(THR)
e. Iliizarove 일리자로프 수술법
일리자로프라는 의사에 의해 개발된 외부 고정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뼈를 자른 후 아주 서서히 연장시켜 주어 골이 연장 되는 사이에 새로운 골이 저절로 생겨나게 하는 방법입니다. 선천적으로 한쪽의 앞, 뒷다리의 길이가 짧은 경우, 외상이나 종양 등으로 인해 뼈 및 연부조직의 결손, 사지 각변형 등이 있을 때 적용하게 됩니다.

- 치료 및 적용법
- 외고정 장치를 교정이 필요한 부위에 장착하게 됩니다. 절골 부위의 위치를 확인한 뒤 뼈와 외고정 장치를 연결하는 나사를 1~2cm정도의 피부 절개 후 뼈에 고정하고 여기에 외고정 장치를 연결시켜 고정하게 됩니다. 골 연장을 위하여 피질 절골술을 시행하고 약 5~14일 후부터 뼈의 길이를 늘려주게 됩니다.
대동물 외과
치료 장비, 시설 또는 인원의 부족으로 인해 일선 대동물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울 수 있는 근골격계질환, 소화기질환, 호흡기질환, 비뇨기계질환 들을 담당합니다.
소동물 외과
- 일반외과 : 소화기계외과, 비뇨기계외과, 흉강외과, 순환기외과 및 피부부속기외과를 담당합니다.
- 정형외과 : 골절, 관절질환 및 기타 근골격계질환의 진료 및 치료를 담당합니다.
- 신경외과 : 원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CT 및 외부 MRI 센터 등의 영상진단시스템과 임상병리과를 통해 신경계질환의 정확한 진단율을 높이고 약물 및 수술 등을 통한 적절한 치료를 실시합니다.
마취과
외과 수술에 필요한 마취뿐만 아니라 동물병원내 각과에서 검사,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실시하는 마취, 진정 또는 진통에 직접 관여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마취를 실시함과 동시에 마취로 인한 사고의 발생을 최소화 시키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진료교수 및 진료진

정성목 교수님
- 진 료 과 : 외과
- 전문분야 : 연부조직 외과, 종양외과

이해범 교수님
- 진 료 과 : 외과
- 전문분야 : 정형외과, 신경외과, 재활치료

김대현 교수님
- 진 료 과 : 외과
- 전문분야 : 심장외과, 흉부외과, 혈관외과, 연부조직외과, 종양외과
-
진료수의사 : 전영진
-
진료진 : 남상현
-
진료진 : 이원종
-
진료진 : 김경민
-
진료진 : 김경빈
-
진료진 : 김리원
-
진료진 : 김예은
-
진료진 : 김우진
-
진료진 : 배승표
-
진료진 : 윤종필
-
진료진 : 김성록
-
진료진 : 김지윤
-
진료진 : 김희진
-
진료진 : 류윤희
-
진료진 : 배호정
-
진료진 : 염규현
-
진료진 : 이병욱
-
진료진 : 조형현
-
진료진 : 최현주